Vanilla Ice Cream with Mayo and Fondue on Top: Exploring a Baker’s “Molecular Painting”
Sungah Serena Choo
Baking bread requires the full range of bodily senses: feeling the texture of the dough in the kneading process and sensing the right time to stop, or the sense of smell that we need to determine how far along the bread is by the aroma it gives off in the oven. Indeed, in the world of bakeries following exact recipes, the ability to detect things by scent is a prerequisite for skilled cooks—more so than the movements in the often quite intensive process or the visual ability to spot the color of bread at the precise moment it is ready. Before, I had found it interesting that in the baking world, as opposed to other cooking milieus, people refer to “formulas” rather than “recipes.” It is an aspect that shows how much weight is placed on the elements, and the prevailing attitude of taking apart the ingredients’ basic properties and weaving them together again in new ways. In that sense, Melody Park is a baker before she is a painter: with her unique experience of having worked as baker of bread and cakes in the past, she responds to the commonalities in both areas as she commits herself to pictorial exploration.
Melody Park’s paintings boast aspects that evoke both the painter and the researcher of cuisine—like an outdoor swimming pool on a hot summer day that is a bit warm at the surface but refreshingly cool underneath; silhouettes of objects; a mousse with white soybean foam on top; sweet yet tart lemon sorbet; or utterly incompatible flavors like mayonnaise and fondue. More so than the senses of vision, smell, and touch, what captures the eye are the big books of color thicknesses and the color chips on the small square canvases located all around her studio. Like recipe books, the volumes could be described as records for drawing colors and textures. Recognizing how each paint has its own viscosity and how the thickness of a color can vary with their different characteristics and concentrations, the artist records her individual experiments with the extents of cracking and preservation when they are dry. She focuses on exploring the characteristics of colors as they react to water, oil, and air—for instance, she often makes use of titanium white, which dries quite slowly in comparison with fast-drying cobalt blue. For her color recipes, she records the date by fixing sheets with film capturing images of each concentration and thickness; rather than the color itself, these are records of the researcher’s basic attitude and desire to create colors. As records of her past efforts to individually document the textures and forms produced from her color modulations, Melody Park’s drawing books adopt a similar approach to a baker, who starts with flour, egg yolks, and water and experiments with different doughs to find the optimal state.
These experiments with watery materiality are based on a process of imagining the transparency and the physical sensations as light filters through. There seems to be an element of spontaneity to the process as Park experiments intuitively with mixtures of thick and watery concentrations at different grades on a single canvas—yet through the proportions of her ingredients, she is precisely establishing the scope of the colors she is to use. In basic terms, mixtures with a higher percentage of turpentine relative to the paint are used to produce paintings with as thin a concentration as possible; Park applies the paint thinly on the canvas, allowing us to more closely glimpse the thicknesses and textures. Underlying this is the artist’s focus on the chemical reactions of her materials, with each color possessing different properties. For example, the “flatness” of painting is not a reference to the physical two-dimensionality of the medium, but something that allows for the coexistence of various perceptions (sight, touch, and so forth) in the person viewing the surface as they view the object from a single sensory perspective. At the same time, Park opts for an approach where she paints or applies materials to her canvas in quite thin and “watery” ways—rather than focusing on the painting’s mass or the surface as such—and then erases that material thickness so that it shows as little as possible. Approaching a pronounced primitive state through her layers of color and representations of texture, Park’s paintings still adhere closely to the conditions inextricably bound to painting as a medium, and the factors that ensure painting’s expressive potential and value. While she retains the two-dimensional surface that is an intrinsic part of painting, she adopts a perspective that views the inherent perceptions of the physical medium as a continuum bound to its object, emphasizing the particles of her materials through which she is able to realize more expressive possibilities on the canvas.
Ahead of her approach to the particles of paint, Melody Park’s color choices—cerulean, silver, white, reddish-violet, camellia red, and so forth—originate in the appointed forms chosen by people to present large volumes and areas of color in banal ways, as we see in everyday life. Her paintings call to mind pictorial landscapes in which colors have been applied to large forms that are structural, yet come across as flat. For example, these are things that she intuits in those curious moments where artificial and natural colors overlap, as in the structures and shapes of a swimming pool located near a beach, or a rooftop swimming pool that meets the vertical rise of the sky. This sense stems from the priority that Park assigns to color development as a way of summoning her memories of states of mind through her experiments with the chemical and physical particles of her materials. The realm of color creation and movements that involve particular tools and the human body is a process that unfolds in a similar way to kneading dough to achieve fermentation or a completely new recipe through combinations of ingredients with different properties—the artist’s approach to capturing the pictorial landscapes she is capable of envisioning. In this way, Melody Park’s sense for connecting textures and colors involves bringing out the technical expression best suited to the basic properties of her materials through the use of oil paints, charcoal, oil sticks, oil pastels, wax, pencil, and powders. For an example of this, we can look at her studio, which is different enough from those of other painters that it gives the impression of her approach to painting being akin to molecular gastronomy. Like the laboratory of a chemist or a culinary researcher, it boasts paints in solid and powder form rather than tubes; in addition to brushes, it includes painting tools in unfamiliar shapes for her various painting experiments, surrounded on all sides by the square canvases where she has tested her color textures.
Molecular gastronomy is an example of a fine-grained approach to cooking, which involves developing new flavors and textures by scientifically analyzing food textures and compositions and the cooking process. Fundamentally, the ingredients and cooking process are understood in terms of molecular elements; even as the cook focuses on changes in the processes of baking, boiling, and heating, their focus is on conveying the flavor and scent of the raw materials. This approach of analyzing ingredients scientifically—with the molecular arrangements that change with the temperature and cooking methods—involves viewing them as mixtures of chemical substances and “increasing the volume” of the flavor by reconfiguring the properties, tastes, scents, textures, and colors that one is ultimately attempting to shape. It is quite a similar process to the way in which Melody Park creates her paintings. The color textures, forms, and canvas compositions that we perceive in her painting work share similarities with the way tiny molecules come together to form all matter, including the paints and backdrop. In paintings such as A Pool of Sunlight (2022), How Are You (2022), and Ping-Pong-Ping-Pong (2022), she deliberately adds distortions to the visual properties, such as the sizes and distances among the shapes or the colors and movement. The colors and shapes—such as the inner and outer portions that emerge around the colors on her canvases—serve as a means of allowing the two states to continue within a single perspective. In particular, her canvases show an approach in which she paints in a similar fashion to applying makeup, or carefully swabbing something away with a small, rounded sponge on a stick. This appears to be a way of absorbing the color underneath the canvas while keeping it confined solely to the surface. Park employs a wide range of other basic approaches, including painting in thin, shallow lines reminiscent of drawing.
In these ways, Melody Park’s deconstruction- and recombination-based interpretation of abstract painting evokes images of molecular recipes in which ingredients are ground down to produce new dishes. Rather than the instinctual act of eating, her approach involves breaking down the most fundamental aspect of painting: creation. In that sense, it does not seem all that important “what” she is painting, what object she is concretely trying to express to the viewer. Focusing on chemical change with their explorations of materiality, Park’s paintings center on a creative approach where the results originate in the paints through which she explores concentrations and textures, while adhering to an approach of applying tools as she explores the original colors that can be inferred from nature. The themes that are frequently talked about in contemporary painting—including the “support,” “materials,” and “tools”—share a commonality in terms of explorations of the materiality through which painting is achieved. Where other artists consciously adopt a “post-painting” approach of focusing on the surface or the “liquidity” of perceiving objects through the screen, or of pursuing their material nature, Melody Park forgoes this contemporary reliance on digital images. Instead, she turns to her own memories and perceptions of experiences, creating canvases that capture the embodied sensory instincts they allow her to imagine. Distancing herself from the framework of painting and contemporary image-based conventions, she is less interested in discovering new forms than in immersing herself in the basic language of the painting medium. Hers is not a methodology of representation, but one of introducing contexts into the painting form to allow for the most sensual expression of actions inscribed in the body through her own unique experiences.
바닐라 아이스크림 위에 마요네즈와 퐁듀
: 베이커의 분자 회화 탐구
글. 추성아
빵을 굽는다는 것은 반죽 과정에서 밀가루의 질감에 대한 촉각과 더불어 정확한 시점에서 멈추는 감각과오븐에 들어갔을 때 빵이 구워진 냄새로 그 익은 정도를 확인할 수 있어야 하는 후각 등 총체적인 신체 감각을 요한다. 정확한 레시피를 수행하는 제빵의 세계에서 숙련자는 신체의 움직임에 꽤나 고단한 노동력을 기반하는 몸짓과 빵이 익는 적정 시점의 색을 파악하는 시각적인 측면에 앞서 후각으로 파악하는 기술이 필요 조건으로 작동한다. 독특하게도, 요리와 다르게 베이킹의 세계에서는 ‘레시피’라는 표현보다 ‘포뮬러(formula)’라고 지칭하는 점이 흥미로웠는데 이는 원소에 무게를 싣게 됨으로써 재료의 근본적인 속성을 해부하고 새롭게 직조하는 태도가 우위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한 점에서 멜로디박은
페인터이기 전에 제빵사 즉, 빵과 케익을 굽는 베이커였던 독특한 경력을 갖고 있어 그런지 둘의 공통점에 반응하여 회화적 탐구에 몰두한다.
멜로디박의 회화는 어느 뜨거운 여름 날에 표면이 살짝 데워졌으나 물에 들어가면 시원한 야외 수영장, 사물의 실루엣, 혹은 흰 콩으로 만든 거품을 올려놓은 에스푸마, 새콤하면서 달달한 레몬 소르베, 그리고 서로 절대 섞일 수 없는 마요네즈와 퐁듀 등 페인터와 요리 연구가를 떠오르게 하는 두 가지 면모를 보여준다. 시각과 후각 촉각 등의 감각들 이전에 눈길을 끄는 것은 작가의 작업실에 늘어져 있는 작은 정방형 캔버스 위에 컬러칩들과 색의 두께를 기록한 두툼한 책이다. 레시피를 연상하게 하는 이 책은 색과 질감에 관한 드로잉 북이라 해도 무방하다. 작가는 물감이 갖고 있는 저마다의 점성이 다른 특성과 농도에 따라 색의 두께가 달라지는 것을 인식하며, 그에 따라 건조되었을 때 갈라지거나 유지되는 상태가 제 각각인 정도를 개별적으로 실험하고 기록한다. 건조되는 속도가 빠른 코발트 블루와 달리 작가가 자주 사용하는 티타늄 화이트는 굉장히 느리게 건조되는 등 색이 물과 기름, 공기와 반응하는 특성에 몰두한다. 각각의 농도와 두께를 촬영한 이미지 필름을 낱장에 붙여가며 날짜를 기록했던 칼라 레시피는 사실상 색 자체보다 색을 만들고 싶다는 기본적인 작가의 색에 대한 연구자의 면모와 욕구가 담겨있다. 색의 변조 속에서 도출된 질감과 형태를 개별적으로 기록해왔던 멜로디박의 드로잉 북은 빵이 밀가루와 계란 노른자, 물인 상태 즉, 반죽 이전의 상태에서 출발하여 다양한 반죽을 실험해 보고 최적의 상태를 발견해 나가는 태도와 유사하다.
묽은 물성에 대한 실험은 투명도 혹은 빛이 투과되는 물리적인 감각을 상상하는 것을 근간에 둔다. 묽은 것과 두꺼운 것이 한 화면에 섞였을 때 단차를 다르게 두고 직관적으로 실험해 나가는 작가는 그 과정에서 즉흥성이 동반되는 것처럼 보이지만, 재료의 비율을 통해 사용할 색의 범위를 정확하게 제조해 나간다. 기본적으로 물감보다 테레핀의 비율을 높게 설정한 배합은 가능한 묽은 점성으로 그림을 그려 나가려는데
있으며 캔버스 위에 얇게 펴 바르므로 그 두께와 결을 더욱 섬세하게 들여다 볼 수 있게 된다. 그 바탕에는 작가가 기본적으로 색마다 다른 속성을 갖고 있는 재료의 화학적 반응에 주목하는데 있다. 예컨대, 회화의 평면성은 매체가 갖고 있는 물질적인 이차원성을 지시하는 것이 아니라 대상을 감각의 한 관점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평면을 보는 관객으로 하여금 시각, 촉각 등 여러 촉지적 감각들이 공존하도록 한다. 그렇다고해서 물감 자체의 덩어리 혹은 표면을 다루기보다 캔버스 위에 재료를 굉장히 묽고 얇게 바르거나 그리면서 물성의 두께를 최대한 드러내지 않도록 소거해 나가는 방식을 택한다. 또한, 색의 층위와 질감의 재현에 의해 두드러지는 원초적인 상태에 가까운 멜로디박의 회화는 여전히 회화의 불가분한 매체적 조건이자 회화의 표현 가능성과 가치를 담보해주는 매체적 조건에 가깝다. 여기서 작가는 회화의 고유한 조건인
평면을 유지하면서도 회화가 더 많은 표현 가능성을 화면 안에서 구성하고 있는 재료의 입자들을 앞세우며 물리적 매체가 갖는 고유한 감각을 대상과 결합된 하나의 연속체로써 바라본다.
멜로디박이 물감의 입자를 다루기 전에 세룰리안 블루, 실버, 화이트, 레뒤시 바이올렛, 카멜리아 레드등의 색을 선택하게 되는 계기는 일상에서 눈에 밟히는 사소하게 큰 면적과 부피의 색이 펼쳐지는 인간이 정해 놓은 형태에서 비롯된다. 그의 회화는 구조적이지만 평평하게 감지할 수 있는 거대한 형태에 색이 입혀지는 회화적인 풍경을 연상케 한다. 예컨대, 작가는 바닷가 근처에 있는 수영장이 담고 있는 구조와 형태, 그리고 하늘의 수평적인 방향과 맞닿아 있는 옥상 수영장 등 인공적이고 자연적인 색이 중첩되는 절묘한 순간의 풍경에서 직관적으로 발견한다. 나아가, 이러한 감각은 재료의 화학적이고 물리적인 입자의 실험을 통해 기억에 담아두었던 심상을 연상하기 위해 일차적으로 색의 발색을 우선순위에 두는 것에서 비롯된다. 색을 제조하고 특정 도구와 신체가 개입된 움직임의 영역은 작가가 상상할 수 있는 회화적 풍경을 담기 위해 서로 다른 속성의 재료를 조합하여 완전히 새로운 요리를 탄생시키거나 발효시키기 위한 반죽의 과정과 유사하게 흘러간다. 이처럼, 멜로디박은 질감과 색을 연결하는 감각은 유화, 목탄, 오일 바, 오일 파스텔, 왁스, 연필, 분말 입자 등을 이용해 재료의 근본적인 특성에 맞는 기법적인 표현을 살리고자 한다. 예컨대, 그의 회화적 태도가 분자 요리학에 가깝다는 생각이 들 정도로 다른 회화 작가와 다소 다른 작업실 풍경을 살펴볼 수 있다. 그의 작업실에는 어느 화학자 혹은 어느 요리 연구가의 연구실처럼 물감 튜브보다 고체와 분말 물감이 즐비해 있으며, 그리기의 다양한 실험을 위해 붓 외에 낯선 형태의 그리기 도구들과 색의 질감을 테스트한 정방형 캔버스들이 사방을 둘러싸여 있다.
분자 요리학을 예로 들자면, 이는 음식의 질감과 조직, 그리고 요리 과정을 과학적으로 분석해서 새로운 맛과 질감을 개발하는 태도로 접근하는 미시적인 요리 방식이다. 기본적으로 재료와 조리 과정을 분자 단위로 보고 굽고, 조리고, 익히는 과정에서의 변화를 포착하면서도 원재료 고유의 맛과 향을 전달하는데 집중한다. 조리하는 온도와 방법에 따라 재료의 분자 배열이 변하는 등 식재료를 과학적으로 분석하는요리 방식은 화학물질들의 혼합물로 바라보고 결과적으로 영향을 미치고자 하는 성질, 맛, 향, 질감, 색등을 재구성하여 “맛의 부피를 늘리는데” 있다. 이같은 태도는 멜로디박이 페인팅을 완성하는 과정과 매우 유사하다. 마치, 근의 페인팅에서 지각할 수 있는 색의 질감, 형태, 화면 구성은 안료와 배경과 같은 모든 물질에서 분자라는 아주 작은 파편들이 모여 구현되는 것과 같다. <A Pool of Sunlight>(2022), <How Are You>(2022), <Ping-Pong-Ping-Pong>(2022) 등은 독특하게도, 형태 간에 크기와 거리, 색채와 움직임 등 시각적 속성에 어떤 왜곡을 의도적으로 가하는 것과 색을 중심으로 화면에서 발생하는 안과 밖 등 색과 모양이 두 개의 상태 또는 하나의 관점에서 관철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특히, 동글동글한 작은 크기의 스펀지를 막대기에 연결해 화장하듯이, 혹은 무언가를 조심스럽게 지워내듯이 톡톡 그려내는 것을 화면에서 확인할 수 있는데, 색을 캔버스 아래로 흡수시키려는 동시에 표면 위에만 안착시키거나 드로잉하듯이 가늘고 옅게 그려내는 등 다양한 기초적인 태도를 구사한다.
이와 같이, 해체와 재조합을 통한 멜로디박의 추상 회화의 해석은 식재료를 갈아서 새로운 요리를 만들어내는 특정 분자 요리들을 상상하게끔 한다. 이와 더불어, 먹는다는 본능적인 행위보다 ‘만들기’ 즉, 페인팅에서의 가장 기초적인 것을 해부하는 태도는 무엇을 그릴 것인지 혹은 어떤 대상을 관객에게 구체적으로 전달할지가 큰 의미가 있을까 생각해 본다. 재료적 물성을 탐구하고 화학적 변화에 주목하는 멜로디박의 회화는 그로 인해 발생하는 결과들이 물감의 농도와 질감을 탐구하는 안료에서 출발함으로써, 자연에서 유추할 수 있는 본연의 색을 모색하는 것과 도구를 통한 그리기의 태도에 주목한다. 동시대 회화에서 회자되어지고 있는 지지체, 재료, 도구 등은 회화를 구성하는 물성을 회화의 영역에서 탐구하는 공통점을 공유한다. 대체로 스크린을 통해 대상을 인식하는 액체성과 표면을 다루거나, 이를 중심으로 보다 물성으로 향하거나 의식적으로 탈-회화에 집중한다면, 멜로디박은 디지털 이미지에 의존하는 동시대성을 지양하고 당신의 기억과 경험의 감각에 기대어 그로부터 상상할 수 있는 체화된 감각의 본능을 화면에 담으려 한다. 그는 회화의 틀과 이미지에 따른 동시대의 관습적인 조건과 거리를 두고, 새로운 형식을 찾는 과정보다 회화 자체가 내포하고 있는 기초적인 언어에 몰두하려 하며, 재현의 방법론보다 작가가 갖고 있었던 독특한 경력을 통해 신체에 각인된 가장 감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행위의 맥락을 회화 형식에 대입한다.